서비스 전체보기

[태백] ECO JOB CITY 태백, 도시재생사업 5개기관과 업무협약

기사작성 : 2018.11.29 (목) 15:19:40

폐광지역의 번영, 도시재생 뉴딜사업

태백 장성동 일대, 6년간 2,273억원 투입, 8,000여개 일자리창출

탄광 체험시설, 박물관, 전시관 등 테마파크 조성

미이용산림자원을 활용하는 산림재생에너지파크 조성

아파트형 스마트팜 조성 및 지역난방 그리드사업 추진

강원도와 태백시는 29일 오전 도청 신관 소회의실에서  ‘2018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선정된  ECO  JOB CITY 태백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5개 기관이 참여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18112914216.jpg

 

이날 협약에는 협업기관인 강원도 최문순  지사와,  류태호  태백시장,이청룔 한국광해관리공단 이사장  이청룡,  황창화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  유정배 대한석탄공사 사장  유정배 등이 참석했다.

 

이와함께 이상호 김혁동 도의원 및 안미모 의원과  도청 시청 관계자 등이 참석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적극적 추진에 동참했다.

 

‘ECO  JOB CITY 태백재생사업은 경제기반형 사업으로 한국광해관리공단이  제안하여 선정된 도시재생 사업으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태백시 장성동 폐광지역  46부지에 6년간 국비 291억원,  공기업투자  805억원 등 총 2,273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이번 사업은 국가성장의 원동력이이던  폐광지역을 재생하는 것으로 한국형 촐페라인(Zollverein)’  탄광재생의 대표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8112914315.jpg

 

주요 사업계획으로,  태백 장성광업소  제2수갱과 채탄시설 등 그 주변은 탄광체험시설과  탄광박물관,  전시관 등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문화 클러스터로 구축하는 가운데 아울러,  수갱타워(권양기)는 근대문화유산 지정을 추진하고 마인아트  인큐베이팅 센터 설치와 지역문화 전문가 육성 등을 추진한다.

 

그동안 활용하지 않던 대한석탄공사 훈련원 부지는  산림재생 에너지파크로 조성하여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원료로 태백지역의 미이용산림자원을 활용한다.

 

벌목 후 활용하지 못하는 산림자원을 수거하여  발전용 원료인 우드칩을 생산하는 산림자원수거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산림자원 수거를 위한  일자리 약 5,400개 정도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는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발전 여열은 재생지역에 공급하는 지역난방 그리드사업을 추진하여 지역의 난방비 절감을 도모한다.

 

또한,  석탄공사 사택인 아파트  2개 단지에는 스마트팜으로 조성하고 광부를 비롯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스마트팜 전문가 육성 및 판매장,  체험장 설치와 마을기업  운영 등을 지원한다.  주변 장성농공단지와  배후도시에는 에너지효율화(태양열에너지)를 통해 전기요금 절감을  도모한다.

 

20181129135951.jpg

 

본 재생사업으로 지역에는 직간접적인 8,000여개의 일자리가 제공되어 쇠퇴되어가는 폐광지역의  경제활성화를 통한 번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되고 있다.

 

최문순 도지사는 본 사업에 대하여는 정부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오늘 협약에 참여한 기관이 하나가 되어 한국형 폐광지역 재생의 선도모델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 지사는 또 현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되는 도시재생사업은  단순히 주거환경을 개선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 창출 등 지역혁신의 중심이 되는 거점의 역할도 중요하다,  “앞으로도 뉴딜정책의 목표  실현과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표시라인) [경북연합방송]의 사진과 기사를 무단 전제 및 재배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기사목록

기사 댓글

! 욕설 등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됩니다.

강원연합방송 지사 선택

고성군 철원군 양구군 속초시 화천군 인제군 양양군 춘천시 홍성군 강릉시 횡성군 평창군 동해시 원주시 정선군 삼척시 영월군 태백시

최근 가장 많이 본 기사인물+

최근 가장 많이 본 기사인물은 독자들이 인물기사에 대한 클릭수[읽기]가 실시간으로 적용된 것입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